요즘 생각도 많고 일도 바뻐서 블로그에 글 하나 올리지 않고 있다. 신년에는 글도 더 많이 쓰고 책도 많이 읽으려고 하는데 첫 주에 아무 것도 못하고 지나가고 말았다.

글을 쓰면, 특히 블로그에 글을 올리면 이런 생각이 들거나 이런 이야기를 듣게 된다.

이 두 생각은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되는데 가장 피곤한 형태는 “잘 쓰지 못한다면 안쓰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는 일이다. 이런 생각을 본인만 하면 모르겠는데 남이 쓴 글에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을 종종 본다. 심지어 이런 이야기를 건설적으로 듣지 못한다면 글 쓸 자격이 없다느니, 자신이 아무 말 해놓고는 그 책임을 글쓴이에게 전적으로 돌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면 글 쓰는 사람은 자신감도 없어지고 이런 대화를 보면 나는 글 쓰질 말아야지 결심하기도 한다. 어느 쪽이나 무서운 일이다.

늘 글을 쓰는 일을 생각하며 지내지만 이런 대화를 듣거나 보고나면 계속 글을 쓰는게 맞나 생각이 맴돈다. 마치 개미지옥과 같아서 벗어나기 쉽지 않다.

먼저, 글을 써보지 않으면 자신이 잘 쓰는지 못쓰는지 알 수 없다. 먹어보지 않은 음식의 맛을 알고 싶다면 물론 인터넷 검색해보면 간접적으로 알 수 있겠지만 직접 먹어보는 것이 확실하다. 게다가 그 글도 한 두 번 써본다고 잘 쓰는지 알기 어렵다. 맛집찾기와 비슷한 과정이다. 많이 먹어보기 전에는 어느 집이 맛있는지 비교하기 힘들다. 자신이 어떻게 글을 쓸 때 즐겁고, 더 깊이 집중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지 알고 싶다면 꾸준히 써봐야 한다. 100개 포스트 올리기 같은 목표를 만들고 달성해보는 식이다.

그리고 글은 독자가 있어야 다듬어진다. 가장 이상적인 독자는 가까이 있는 사람 중 기꺼이 시간을 내어 글을 읽어줄 분이다. “아는 사람”은 질 높은 피드백을 줄 가능성이 높다. 다만 피드백을 받으면 종종 글의 호흡이나 글 쓰는 과정 전체가 늘어지는 경향이 있다. 짧고 간단한 글이라면 먼저 공개하고 피드백을 받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좋은 피드백을 받고 싶다면 본인도 평소에 많이 찾아 읽고 피드백을 즐겁게 자주 남겨야 한다. 그렇다고 피드백이 거창할 필요는 없다. 잘 읽었다면 잘 읽었다고, 오타가 있으면 오타가 있다고 말해주는 정도여도 충분하다. 그리고 다른 의견이라면 글 뒤에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말고 정중하게 쓰자. 기본이다. 피드백을 주는 일은 내 글을 쓸 때도 더 넓은 관점으로 글을 접근할 수 있는 시각을 주는 동시에 새로운 독자를 찾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글이 부족하다고 지적받는 일을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내 스스로도 여전히 두려운 일이긴 하지만 “지적 받으면 더 고민해보고 고치면” 된다. 그런 면에서 블로그는 매우 편리하다. 문제가 생기면 고치거나 글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맞춤법 검사를 수행하고 비문을 사용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이 두 가지는 글을 읽는 과정을 방해하며 글이 전달하는 내용을 흐리게 된다. 맞춤법 검사 도구를 사용해보고 글을 꼼꼼하게 읽어 비문을 수정하자.

올해는 내 스스로도 글쓰기 개미지옥에서 탈출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더 부지런히 글을 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