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도 테스트주도개발에 관한 글을 인터넷에서도 한참 찾아보고 읽었었다. 글을 읽고서 TDD를 행동으로 옮겨보면 대부분 글이 구호만 잔뜩 나열했지 무슨 일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과정을 제대로 설명하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나도 중요하다고는 늘 이야기하지만 현장에서 제대로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 막히는 부분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어떤 방법으로 고민해야 하는지 생각만 많아지고 해결하질 못했었다. 그래서 지난 번 사온 책 중 테스트 주도 개발 (켄트 백, 인사이트, 김창준 강규영 옮김)을 가장 먼저 읽어보게 되었다.

이 책에서는 예제로 먼저 시작해 TDD가 어떤 생각의 흐름에 따라서 진행되는지 보여준다. 그 뒤로는 TDD를 하게 될 때 접할 수 있는 의문점과 그 해결책을 나열한다. 대략적으로만 알았었기 때문인지 새로웠던 부분, 기억하고 싶은 내용이 많았다.

테스트를 언제 작성하는 것이 좋을까? 테스트 대상이 되는 코드를 작성하기 직전에 작성하는 것이 좋다. (p. 210)

나중에 작성하면 항상 통과하는 무의미한 테스트를 작성하게 될 수도 있다.

시스템을 개발할 때 무슨 일부터 하는가? 완료된 시스템이 어떨 거라고 알려주는 이야기부터 작성한다. 특정 기능을 개발할 때 무슨 일부터 하는가? 기능이 완료되면 통과할 수 있는 테스트부터 작성한다. 테스트를 개발할 때 무슨 일부터 하는가? 완료될 때 통과해야 할 단언(assert)부터 작성한다. (p. 211)

TDD를 가장 간단하고 와닿게 풀어낸 문장이다.

상향식, 하향식 둘 다 TDD의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설명해 줄 수 없다. 첫째로 이와 같은 수직적 메타보는 프로그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해 가는지에 대한 단순화된 시각일 뿐이다. 이보다 성장(growth)이란 단어를 보자. ‘성장’은 일종의 자기유사성을 가진 피드백 고리를 암시하는데, 이 피드백 고리에서는 환경이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고 프로그램이 다시 환경에 영향을 준다. 둘째로, 만약 메타포가 어떤 방향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면 (상향 혹은 하향보다는) ‘아는 것에서 모르는 것으로(known-to-unknown)’라는 방향이 유용할 것이다. ‘아는 것에서 모르는 것으로’는 우리가 어느 정도의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개발을 시작한다는 점, 개발 하는 중에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될 것임을 예상한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 두 가지를 합쳐보자. 우리는 아는 것에서 모르는 것으로 성장하는 프로그램을 갖게 된다. (p. 218-219)

TDD가 어떤 순환성을 갖는지 설명하는데 이 부분 탓에 TDD를 더 어렵게 고민하게 만든다는 생각이 들었다.

첫 걸음으로 현실적인 테스트를 하나 작성한다면 상당히 많은 문제를 한번에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될 것이다. … 정말 발견하기 쉬운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면 이 시간을 짧게 줄일 수 있다.(p. 219)

한번에 모든 것을 작성하려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

화이트 박스 테스트를 바라는 것은 테스팅 문제가 아니라 설계 문제다. 코드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용도로 변수를 사용하길 원한다면 언제나 설계를 향상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하지만 두려움 때문에 포기하고 그냥 변수를 사용하기로 결정해 버리면 이 기회를 잃게 된다. 그렇게 말하긴 했지만 정말 설계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어쩌겠는가. 그냥 변수를 검사하게 만들고 눈물을 닦은 후, 머리가 좀더 잘 돌아갈 때 다시 시도해보기 위해 적어놓고서 다음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p. 255)

테스트를 작성하면서 테스트가 코드 내부 구현을 너무 많이 알고 있을 때 코드에 의존적인 테스트를 작성하기 마련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항상 느낀 점인데 테스트를 통과하면 일단 두고 넘어가도 된다는 점이다. 리팩토링에서 다시 만나면 코드를 새로 작성하거나 테스트를 새로 작성하면 된다고 계속 이야기한다.

‘관측상의 동치성’이 성립되려면 충분한 테스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충분한 테스트란, 현재 가지고 있는 테스트들에 기반한 리팩토링이 추측 가능한 모든 테스트에 기반한 리팩토링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p. 292)

빨간 불에서 초록 불로 바꾸는 과정에서 관측 상의 동치성이 나타난다. 초록 불 상태에서 코드를 바꿔도 초록 불이라면 외부에서 보기에는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초록 불 상태로 어떤 방식으로든 빠르게 만들어내야 한다는 설명이 이 맥락에 닿아 있다.

TDD 주기(테스트/컴파일/실행/리팩토링)를 수행하기가 힘든 언어나 환경에서 작업하게 되면 단계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각 테스트가 더 많은 부분을 포함하게 만든다. 중간 단계를 덜 거치고 리팩토링을 한다. 이렇게 하면 개발 속도가 더 빨라질까, 느려질까? (p. 315)

단기적으로는 빨라지는 것 같지만 결국엔 테스트와 거리가 먼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

패턴 복사하기 자체는 훌륭한 프로그래밍이 아니다. 이 사실은 내가 패턴에 대해 이야기 할 때면 늘 강조한다. 패턴은 언제나 반숙 상태며, 자신의 프로젝트 오븐 속에서 적응시켜야 한다. 하지만 이렇게 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는 일단 무턱대고 패턴을 복사하고 나서, 리팩토링과 테스트 우선을 섞어 사용해서 그 적응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패턴 복사를 할 때 이렇게 하면 해당 패턴에 대해서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한 번에 하나씩). (p. 340)

TDD와 리팩토링 과정 속에서 패턴은 자연스럽게 발견되어야 한다는 이야기와 유사하다. 패턴은 반숙이라는 표현이 와닿았다.


실천 없는 구호는 의미 없다. 이 계기로 앞으로는 TDD 하도록 노력해야겠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