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거창하지만 그냥 생각나는대로 적어본 글이다.

지난주 트위터를 달궜던 이슈는 역시 구글리더가 아닌가 싶다. 봄청소라는 명목으로 매년 자사의 서비스를 검토하고 정리하는 구글이 이번엔 구글 리더를 정리한다는 글을 올렸다. 덕분에 대체재로 부상된 newsblur나 feedly 등의 서비스가 트래픽 폭탄을 맞이하는 웃는게 웃는게 아니야 같은 상황도 벌어졌다. Feedly는 이 날을 준비했다며 대거 서비스 이주 프로젝트로 노르망디에 대해 알리기도 했다. (노르망디라니 작명 센스가 대단하다.)

Quora에 구글 리더 PM이 내부적인 상황을 공개했기 때문에 단순히 수익이 나지 않아 닫는다는 얘기보다는 다음 두가지 이야기로 대충 결론이 났다. 첫째는 sns 서비스 개발에 대다수 구글리더 인력이 이동했고 둘째는 구글플러스로의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내부에 있는 사람이 아니지만 외부에서 보고만 있더라도 회사 전체가 구글플러스에 힘을 더하려는 노력이 많이 보일 정도니 내부에서도 분명 난리일듯 싶다.

이 일로 참 다양한 의견이 많이 나왔다. Rss 자체에 대한 회의론, rss 비지니스 무용론이 대표적. 과연 이 서비스로 장사가 되는가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다시 이야기 되었다. (이 얘기는 메타블로그가 블로고스피어를 양분하던 시절을 생각나게 한다. 그때도 결국 문제는 돈이었으니까) 사실 RSS는 무지무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벌써 2013년이다) rss 리더 하나쯤 없어진다고 기술규약이 바뀐다거나 뭔가 심각해질만한 그런 기술도 아니었다. 만약 비지니스 로직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차라리 주도적으로 하위 호환성과 함께 다음 세대의 rss를 빠르게 만들어 냈어야 했다. 유료 구독(이거 규약에 들어있다고 어디서 봤었는데…) 같은 접근들 말이다.

누구 말처럼 sns가 포괄적으로 rss의 형태를 가져갈 수 있다는 얘기도 있어서 차대 rss는 사실 sns라는 말도 일부 동의한다. 피드를 구독한다는 rss의 속성이 sns에도 충분하게 녹아져 있고 또 구글도 구글플러스를 염두에 두고 대체할 것이 있다 생각한게 분명하다. 하지만 sns와 rss는 소비 컨텐츠가 아직까진 많이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정보성 글과 사생활의 글이 정제되지 않은 체로 흐르는 트윗을 보다보면 잦은 화제 변화로 생각이 잘 연결되지 않게 되더라. 근황을 보기엔 정말 좋은 구성이지만 블로그스피어에 비해 가벼운 컨텐츠가 소비되기에만 좋은 환경이란 생각이 든다. 비지니스 쪽으로 생각하면 그런 환경이 훨씬 나은 방향이다. 가십이 많을수록 돈이 될테니까. (지저분해지는 것은 늘 두번째 문제다.)

또한 모두가 구글리더의 전지적 독점 시대 속에서 레드오션으로 생각하고만 있었지 폭탄 선언 이후 그 틈에서 조금씩 점유를 가지고 있던 서비스들로 신속하게 (정말 신속하게) 재편되는 시장을 보니 구글이 잘못된 선택을 했다는 이야기도 정말 많이 보였다. 긍정적으로 보자면 구글리더에 가려져 들어나지 않았던 시장이 다시 살아났다는 얘기도 있다. 구글리더의 api에 의해 굴러가던 수많은 리더들이 “사실 우리 구글리더 없어도 잘되요” 커밍아웃과 함께 엄청난 속도로 시장의 판도를 뒤바꿨다. 뭐 여러모로 대기업이 망해야 수많은 중소기업이 살아난다는 이야기가 허상이 아닌게 들어난게 아닌가 싶다.

또한 장기적으로 봤을 때 구글이 버린 사람들 즉, 서비스 난민은 구글이 제공하는 대다수의 서비스를 믿지 않는, 모종의 적대적 관계가 될 수도 있다. 구글리더의 사용자층이 비록 한정적이라 닫아도 서비스 전반에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의견도 있었지만 사용자층이 아닌 수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포맷하기 위해 이 사람들을 만나게 되고 컴퓨터와 관련된 수많은 잡담을 나눌텐데 과연 영향이 없을까 싶다. (개발자라고 노트북 포맷하고 윈도 설치해주는 사람이 아닙니다 여러분!)

주섬주섬 글을 정리 해보자면 내 생각은 이렇다. 서비스 하나 닫는다고 해서 세상이 달라지는 아니라고 생각해 왔다. 대다수 닫는 이유가 늘 그 서비스보다 더 나은게 나오고 있기 때문이니까. 하지만 가장 큰 서비스가 닫는 것은 확실히 다르다. 시장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더 큰 서비스가 나올 원동력이 되길 기대한다.

그리고 레드오션이라고 안들어가면 좋은 기회가 왔을 때 구경만 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 그렇다고 레드오션에 무작정 뛰어들란 얘기는 아니지만, 노르망디 프로젝트처럼 준비하고 있는 곳만 시장 재편에 참여할 수 있다. 여튼 여러가지 생각해볼만한 사건인듯 하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