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액트의 Advanced guides 페이지를 따라하면서 노트한 내용이다. 가이드 쪽은 옴니버스 같은 기분이라서 반반으로 나눠 읽기로 했다. 기록하고 싶은 부분만 남겼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각 페이지를 참고한다.

JSX in Depth

리액트 엘리먼트 타입 정의

JSX는 React.createElement(component, props, ...children)의 편의 문법이다. 그래서 JSX를 사용할 때는 스코프 내에 React가 꼭 필요하다.

다음처럼 점 표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번에 여러 컴포넌트 내보낼 때 편리하다.

const MyComponents = {
  DatePicker: function DatePicker(props) {
    return <div>Imagine a {props.color} datepicker here.</div>;
  }
}

function BlueDatePicker() {
  return <MyComponents.DatePicker color="blue" />;
}

사용자 정의 컴포넌트는 꼭 Capitalized 되어야 한다. 소문자로 된 컴포넌트라면 사용하기 전에 Capitalized 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동적으로 사용할 때도 이런 방식으로 사용한다.

const components = {
  photo: PhotoStory,
  video: VideoStory
};

function Story(Props) {
  // Wrong
  return <components[props.storyType] story={props.story} />;

  // Correct
  const SpecificStory = components[props.storyType];
  return <SpecificStory story={props.story} />;
}

Props

아래는 각각 동일한 표현이다.

// 문자열 리터럴
<MyComponent message="hello world" />
<MyComponent message={'hello world'} />

// 문자열 리터럴은 HTML-unescaped로 처리됨
<MyComponent message="<3" />
<MyComponent message={'<3'} />

// Prop의 기본 값은 `True`
<MyComponent autocomplete />
<MyComponent autocomplete={true} />

Spread Attribute로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Greeting firstName="John" lastName="Dorian" nickName="Bambi" />

const props = {firstName: 'John', lastName: 'Dorian', nickName: 'Bambi'};
<Greeting {...props} />

const { nickName, ...other } = props;
const nick = nickName === 'Bambi' ? 'Newbie' : 'Scooter';
<button nickName={nick} {...other} />

자식 노드

문자열은 문자열로 처리되고 개행은 공백으로 처리된다.

render()에서 배열로 반환하면 합쳐서 렌더링한다.

JS 표현식도 자식 노드에 사용할 수 있다. 배열도 렌더링 하기 때문에 다음처럼 쓸 수 있다.

<ul>
  {todos.map((message) => <Item key={message} message={message} />)}
</ul>

children에 함수도 전달할 수 있다. Lifting state up이랑 비슷한 느낌이다. 세부 구현을 사용자에게 위임할 수 있을 것 같다.

function Repeat(props) {
  let items = [];
  for (let i = 0; i < props.numTimes; i++) {
    items.push(props.children(i));
  }
  return <div>{items}</div>;
}

function TodoList() {
  const todos = ['finish doc', 'submit pr', 'review'];
  return (
  <Repeat numTimes={10}>
    {(index) => <div key={index}>This is item {index} in the list</div>}
  </Repeat>
  );
}

Boolean, null, undefined는 화면에 렌더링하지 않는다.

// 조건부 표현
{showHeader && <Header />}

// false가 아닌 falsy한 값을 반환하는 경우에는 렌더링되는 점을 주의, 명확하게 boolean으로 반환할 것
{props.messages.length > 0 && <MessageList messages={props.messages} />}

Boolean, null, undefined를 표시하려면 {String(value)} 식으로 작성한다.

PropTypes로 타입 확인하기

정적 타입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사용할 만한 검증 라이브러리다. 원래는 React에 포함되어 있다가 분리된 모양이다. 개발 모드에서만 값을 검사한다. 자세한 사용법은 prop-types 참고한다.

class Greeting extends React.Component {
  // ...
}

Greeting.propTypes = {
  name: PropTypes.string,
  nicknames: PropTypes.arrayOf(PropTypes.string),
  children: PropTypes.element.isRequired
};

Greeting.defaultProps = {
  name: 'Stranger'
};

클래스 프로퍼티 문법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정적 타입 검사

FlowTypeScript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코틀린도 js를 타겟 플랫폼으로 사용 가능하다고 한다. Kotlin Wrappers, create-react-kotlin-app을 참고한다.

Refs와 DOM

일반적으로 데이터 흐름은 props를 사용하게 되어 있지만 몇몇 경우에는 이런 방식에 적합하지 않다.

선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ref를 쓰지 않는 것을 권한다. 예를 들면 Dialog 컴포넌트에 open(), close() 메소드를 만드는 것보다 isOpen prop을 넘겨주는 식으로 처리한다. 안되는걸 되게 하려고 ref를 쓸 수는 있지만 쓰기 전에 컴포넌트 위계를 보고 상태를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 잘 고려해야 한다. ref를 쓰는 방식보다 상위 계층에 상태가 위치하는게 더 적절하다면 Lifting State Up 방식을 적용해서 해결한다.

Ref는 DOM 컴포넌트와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 자체를 레퍼런스로 넘기 때문인데 함수형 컴포넌트 내에서 DOM 컴포넌트나 클래스 컴포넌트에는 사용할 수 있다.

마운트 될 때는 인자에 해당 엘리먼트를 전달하고 언마운트에는 null을 전달한다. 이 ref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 전에 호출된다.

일반적으로 DOM 엘리먼트에 접근해야 할 일이 있을 때 많이 쓴다. ref={input => this.textInput = input}

class AutoFocusTextInput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Mount() {
    this.textInput.focusTextInput();
  }

  render() {
    return <CustomTextInput
      ref={(input) => { this.textInput = input; }}/>;
  }
}

하위 엘리먼트의 DOM ref를 상위에서 사용하려면 props 체인을 따라서 함수를 내려주면 된다. 여기서 inputRef는 일반 prop을 정의해서 쓴 것이지 ref처럼 특별한 기능이 있는 prop이 아니다.

function CustomTextInput(props) {
  return <div><input ref={props.inputRef} /></div>;
}

function FormLayout(props) {
  return (
    <div>
      Name: <CustomTextInput inputRef={props.inputRef} />
    </div>
  );
}

class AwesomePag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FormLayout inputRef={el => this.inputElement = el} />;
  }
}

가능하면 DOM을 노출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어쩔 수 없이 필요할 때만 사용하고 극단적으로는 findDOMNode()라는 흑마법도 존재한다고.

ref가 두 차례씩 호출되는 것(마운트 && 언마운트)은 null을 전달해서 기존에 연결된 레퍼런스를 지우는 역할도 겸하고 있기 때문이다. (DOM 레퍼런스를 냅두면 DOM은 해제되어도 GC가 지우지 않고 남겨둔다. 그래서 복잡한거 하지 않도록 간단한 함수 형태로만 소개하는 것 같다.)

Uncontrolled 컴포넌트

폼 데이터를 React 컴포넌트에서 다루는 controlled 컴포넌트와 반대로 DOM 자체에서 다루도록 하는 방식의 컴포넌트를 뜻한다.

DOM 엘리먼트를 사용하면 내장된 동작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ontrolled and uncontrolled form inputs in React don’t have to be complicated 글에서 비교 도표를 볼 수 있다.

<input defaultValue="Bob" type="text" ref={(input) => this.input = input} />
// checkbox, radio는 defaultChecked, 그 외는 defaultValue

input[type="file"]은 읽기 전용으로 항상 uncontrolled 컴포넌트다. ref를 사용해서 DOM을 직접 다룬다.

성능 최적화

프로덕션 빌드를 사용한다.

크롬 개발자 도구의 성능 탭에서 컴포넌트를 프로파일링한다. 프로파일링 전에 크롬 확장과 React DevTool 끄는 것 잊지 않는다. 성능 테스트 과정 참조.

긴 목록은 한번에 로드하지 말고 동적으로 처리해야 성능이 좋다. react virtualized 같은 패키지가 있고 Virtualize, windowing가 검색 키워드.

React devtool에서 Highlight updates 기능으로 불필요하게 렌더링이 되는 지점을 찾아서 수정한다.

shouldComponentUpdate()의 반환값으로 렌더링 여부를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부분을 직접 작성하는 것보다 React.PureComponent를 상속받는게 낫다. PureComponent는 기존 Component 구현에 prop과 state의 shallow 비교를 포함하고 있다. shouldComponentUpdate() 메소드의 동작 방식과 구현은 본문을 읽는다. 갱신이 필요하면 노드를 타고 올라가서 모두 갱신하게 만든다.

불필요한 갱신은 가변 데이터에서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불변 데이터를 사용하면 이 문제를 쉽게 피할 수 있다. Array.push()로 기존 배열을 조작하는 것보다 Array.concat(), [...words, 'new data']을 사용해서 원 데이터가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Immutable.js을 써도 된다.

ES6 없이 React

ES6 없이 쓸 일이 있을 때 읽는다.

JSX 없이 React

JSX 없이 쓸 일이 있을 때 읽는다.


가이드 나머지 다 보고 나면 몇 가지 먼저 만들려고 한다. 그리고나서 enzyme이랑 상태 관리하는 패키지 redux랑 mobx? 찾아서 볼 생각이다. 많은 분들이 열심히 쓰고 있어서 주워들은 것만 공부해도 좀 걸릴 것 같다.

웹사이트 설정

웹페이지 색상을 선택하세요